목차정보
서명 : 한국 행정학 제1부 행정과 행정학의 이해 제1장 실제로서의 행정 : 행정현상 = 5 1. 행정의 실제에서 개념으로 = 6 2. 행정의 특성 : 경영과의 차이 = 10 1) 목적 : 추구하는 가치 = 10 2) 주체 = 11 3) 자원의 관리활동 = 14 4) 재화와 서비스의 제공 = 15 5) 환경적 요소 = 15 제2장 현상에서 학문으로 : 행정현상→행정학 = 18 1. 접근방법 = 20 1) 행태론적 접근방법 = 21 2) 체제론적 접근방법 = 27 3) 제도론적 접근방법 = 34 4) 논변적 접근방법 = 43 2. 행정학의 성격, 사명, 정체성의 위기 = 47 1) 행정학의 성격 = 47 2) 행정학의 사명 = 50 3)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= 51 3. 이 책의 구성 : 행정체제모형 = 55 1) 환경과 투입 = 55 2) 전환과정 = 57 3) 산출과 피드백= 59 제2부 행정환경 제3장 일반환경 = 67 1. 정치적 환경 = 67 2. 법적 환경 = 69 3. 경제적 환경 = 72 4. 사회적 환경 = 73 5. 기술적 환경 = 75 6. 글로벌 환경 = 76 7. 행정과 환경 = 78 1) 종속적 관계 vs. 상호의존적 관계 = 79 2) 환경변화와 대응 = 81 제4장 과업환경 = 84 1. 대통령 = 84 2. 국회 = 86 3. 법원, 헌법재판소 = 88 4. 비공식 환경 : 제도화되지 않은 환경 = 93 1) 언론기관 = 93 2) 국민 = 95 3) 시민단체 = 99 4) 정당 = 102 5) 이익집단 = 104 제3부 행정내부환경 제5장 공공가치 = 111 1. 공공성 = 111 1) 의의 = 111 2) 공공성의 특성 = 112 3) 공공성 개념의 약화 = 116 4) 한국행정의 공공성 정립 = 117 2. 공익 = 118 1) 의의 = 118 2) 학설 = 119 3) 개념의 절충과 관리적 의미 = 121 3. 행정이념 = 125 1) 의의 = 125 2) 합법성과 민주성 = 125 3) 형평성 = 129 4) 능률성과 효과성 = 133 4. 과제 = 136 제6장 정부관 : 정부의 규모와 역할 = 140 1. 정부관의 변천 = 140 1) 근대국가 = 140 2) 현대복지국가 = 141 3) 행정국가 : 큰 정부 = 142 2. 작은 정부 = 144 1) 등장 배경 = 144 2) 의의 = 150 3. 신공공관리 : 작지만 '효율적인' 정부 1) 개념 = 152 2) 특성 = 154 3) 한계 = 159 4. 뉴거버넌스 : 적정 규모와 역할의 유연한 정부 = 161 1) 개념 = 161 2) 특성 = 163 3) 한계 = 166 5. 한국적 맥락에서의 이해 = 168 1) 작은 정부 : 양적 측면 = 168 2) 작지만 '강한 정부' : 질적 측면 = 175 3) NPM과 뉴거버넌스의 적실성 = 180 4) 국민이 원하는 정부 = 182 제7장 행정문화 = 189 1. 의의 = 189 2. 관료제 = 190 1) 의의 = 190 2) 관료문화 = 192 3. 한국문화 = 195 1) 호프스테드 문화차원 = 195 2) 트롬페나르의 문화차원 = 197 4. 한국행정문화 = 201 1) 특성 = 201 2) 과제 = 209 제4부 결정시스템 제8장 정책결정 = 215 1. 정책의 의의 = 215 1) 개념 = 215 2) 유형 = 216 3) 정책과정 = 219 2. 결정모형 = 220 3. 좋은 정책결정 = 228 1) 의의 = 228 2) 정책결정과정 = 229 3) 정책분석 = 237 4) 정책결정의 장과 참여자 = 242 제9장 미션ㆍ비전ㆍ전략, 리더십 = 253 1. 미션ㆍ비전ㆍ전략 = 253 1) 미션 = 254 2) 비전, 핵심가치 = 260 3) 전략 = 265 2. 리더십 = 274 1) 의의 = 274 2) 이론의 전개 : 자질론 - 행태론 - 상황론 = 276 3)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시각 = 286 제5부 집행시스템 제10장 정책집행 = 299 1. 의의 = 299 1) 특성 = 299 2) 연구경향 = 302 2.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= 306 1) 정책결정 = 306 2) 집행주체 = 310 3) 정책대상집단 = 313 4) 집행환경 = 315 3. 정책(집행)수단 = 318 1) 의의 = 318 2) 정책수단별 이해 = 320 3) 선택 = 335 제11장 행정서비스 = 340 1. 서비스의 전달주체 = 340 1) 의의 = 340 2) 지방자치단체 = 341 3) 특별지방행정기관 = 346 2. 서비스의 전달대상 = 348 1) 주민에서 고객으로 = 348 2) 고객지향 행정서비스 = 349 3) 민원행정서비스 = 358 제6부 조직시스템 제12장 조직 : 구조차원 = 369 1. 조직구조 = 369 1) 의의 = 369 2) 조직구조의 차원 = 371 3) 조직구조의 설계 = 374 2. 조직구조의 유형 = 381 1) 이론적 유형 = 381 2) 실제 유형 : 한국 행정구조조직 = 386 제13장 조직 : 관리차원 = 394 1. 개인 측면의 관리 = 395 1) 개인의 이해 = 395 2) 동기부여 = 401 2. 조직 측면의 관리 = 412 1) 커뮤니케이션 = 412 2) 갈등관리 = 421 3) 변화관리 = 431 제7부 지원시스템 제14장 인사 = 451 1. 제도적 기반 = 453 1) 실적주의제 = 453 2) 직업공무원제 = 458 3) 공직의 분류제도 = 463 2. 인적자원 관리활동 = 474 1) 확보 : 선발 = 474 2) 개발 : 교육훈련과 인사이동 = 479 3) 유지ㆍ활용 : 공무원의 행동과 권리 = 488 4) 평가 : 근무성적평정 = 496 5) 보상 : 보수 = 504 제15장 예산 = 517 1. 예산과정 = 519 1) 예산편성 = 520 2) 예산심의 = 530 3) 예산집행 = 535 4) 결산 = 542 2. 예산제도 = 546 1) 품목별 예산제도 = 547 2) 성과주의 예산제도 = 550 3) 계획 예산제도 = 552 4) 영기준 예산제도 = 555 5) 새로운 대안 : 성과관리 예산제도 = 558 제8부 산출과 피드백 제16장 평가 = 567 1. 의의 = 567 1) 평가의 대상과 차원 = 567 2) 능률성과 효과성 = 569 3) 성과평가의 의의 = 571 2. 성과평가시스템 : 균형성과표 = 572 1) 개념 = 572 2) BSC의 4대 관점 = 573 3) 특성 = 574 4) BSC의 정부부문 적용 = 576 3. 우리나라 평가제도 = 580 1) 의의 = 580 2) 기관평가의 구성과 내용 = 580 3) 기관평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향 = 582 찾아보기 = 58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