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해양적조 머리말 = ⅲ 제Ⅰ장 적조 정의와 연구 역사 = 3 1. 적조 정의 = 3 가. 적조의 명칭 = 3 나. 적조생물의 크기와 밀도 = 4 다. 적조발생과 수색변화 = 7 2. 적조 연구 역사 = 10 가. 적조현상의 역사적 기록 = 10 나. 국내외 적조 연구 현황 = 11 제Ⅱ장 적조 발생원인과 발생기구 = 27 1. 적조발생과 환경요인 = 27 가. 물리적 환경요인 = 28 나. 화학적 환경요인 = 42 다. 기후환경요인 = 58 2. 적조발생 기구 = 62 가. 적조발생모식도 = 62 나. 적조발생기구에 관한 학설 = 64 다. 적조발생 단계 = 72 라. 단독종에 의한 적조발생 원인 = 72 마. 주요종의 적조발생 기구 = 73 3. 적조생물의 이동과 확산 = 81 가. 플랑크톤의 이동 = 81 나. 물리적 집적 = 83 제Ⅲ장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과 분류 동정 = 107 1. 적조생물과 분류 동정 = 107 가.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생물 = 107 나. 적조생물의 분류검색 = 109 다. 최근 주요 적조생물의 종명 변경과 변천 = 114 라. 새로운 유해성 적조생물의 탐색기술 = 115 2. 남조류(Cyanophyceae) = 116 가. 형태적 특성 = 116 나. 관류형질과 분류체계 = 118 다. 남조류의 분류와 검색 = 119 3. 크리프토조강(Cryptophyceae) = 124 가. 형태적 특성 = 124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25 4. 규조류(Bacillariophyceae) = 127 가. 형태적 특성 = 127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29 다. 세포의 종류와 세포막의 구성 = 136 5. 와편모조류(Dinophyceae) = 142 가. 형태적 특성 = 142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43 6. 녹색 편모조류(Raphidophyceae) = 160 가. 형태적 특성 = 161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62 7. 황금색 편모조류(Chrysophyceae) = 164 가. 형태적 특성 = 164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65 8. 원석조류(Haptophyceae) = 167 가. 형태적 특성 = 168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69 9. 뉴글레나조류(Euglenophyceae) = 174 가. 형태적 특성 = 174 나. 분류형질 = 174 다. 분류체계 = 178 10. 프라시노조류(Prasinophyceae) = 184 가. 형태적 특성 = 184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85 11. 녹조류(Chlorophyceae) = 189 가. 형태적 특성 = 189 나. 분류형질과 분류체계 = 189 12. 섬모충(Ciliophora) = 191 제Ⅳ장 적조 및 유독성 플랑크톤의 환경생리. 생태 = 203 1. 적조생물의 생활사 = 203 가. 규조류의 생활사 = 203 나. 와편모조류의 생활사 = 208 다. Rhaphidophyceae의 생활사 = 213 라. 기타 미세조류 = 215 2. 해양플랑크톤의 분포와 생태 = 215 가. 규조류의 분포 = 215 나. 와편모조류의 분포 = 217 3. 해양플랑크톤의 광합성 = 217 가. 광합성 색소와 광합성 시스템 = 219 나. 광환경요인의 광합성 조절 = 221 다. 일간 조도 변화와 증식 = 223 라. 광선과 수직이동 = 223 마. 광합성의 주야간 변동 = 224 바. 광선과 온도와의 관계 = 225 사. 유해 적조생물과 광선과의 관계 = 225 4. 운동성 = 226 가. 규조류의 이동성 = 226 나. 와편모조류의 이동성 = 228 5. 적조생물의 종천이와 경년 변천 = 231 가. 해양플랑크톤의 종천이 패턴 = 231 나. 한국 연안의 적조우점생물의 천이 = 234 제Ⅴ장 해양플랑크톤의 휴면포자 = 251 1. 휴면포자의 발견과 의의 = 251 가. 포자의 발견 = 251 나. 휴면포자의 생물학적 의의 = 252 2. 포자의 형태와 대분류 = 254 가. 포자의 형태 = 254 나. 휴면포자의 발아공을 기준으로한 분류검색 = 256 다. 휴면포자의 대분류 = 261 3. 포자의 형성과 발아 = 268 가. 포자의 형성 = 268 나. 포자의 발아 = 269 4. 해저 퇴적물중의 포자의 분포 = 272 5. 포자의 연구방법 = 274 가. 시료의 채집과 처리 = 274 나. Cyst 분리와 배양 = 276 다. 결론 = 277 제Ⅵ장 세계 연안의 적조 발생과 변천 = 287 1. 한국연안의 적조발생과 변천 = 287 가. 한국연안 해양환경 특성 = 287 나. 적조 발생건수와 발생시기 = 290 다. 적조를 일으키는 원인생물 = 294 라. 최근적조의 해역별 분포 = 303 2. 세계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= 311 가. 동북아시아-북서 태평양 연안 = 314 나. 동남아시아-서부태평양 및 중동 연안 = 326 다. 대양주의 적조 = 331 라. 북아메리카 연안 = 332 마. 남아메리카 연안 = 343 바. 유럽 대서 양연안-북해-지중해연안 = 343 사. 아프리카 연안 = 345 제Ⅶ장 적조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식중독 = 365 1.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= 365 가. 해양환경의 질적 변화 = 366 나. 해양생물에 대한 피해 = 365 다. 적조 피해사례 = 371 2. 어패류의 독화와 식중독 발생 = 373 가. 마비성 패독(PSP : Paralytic Shellfish Poisoning) = 375 나. 설사성 패독(DSP : Diarrhetic Shellfish Poisoning) = 382 다. 기억상실성 패독(ASP : Amnesic Shellfish Poisoning) = 384 라. 시콰테라 독소(CFP : Ciguatera Fish Poisoning) = 389 마. 신경성 패독(NSP : Neurotoxic Shellfish Poisoning) = 391 바. 가리비가 생산하는 패독(PTX : Pectinotoxin Acids) = 393 사. Gymnodinine독소 = 394 아. 가리비가 생산하는 Yessotoxin(YTX)과 Adriatoxin(ATX) = 395 자. 아자스피라독소(AZA, azaspiracids) = 395 3. 유해적조의 피해, 질병발생과 공중위생 = 396 가. 질병발생과 감염 = 396 나. 공중위생관리와 역학조사 = 397 4. 유해적조의 연구방향 = 398 가. 해양적조피해 경감에 따른 문제 = 398 나. 해양 식중독의 발병 감염과 공중위생 = 399 제Ⅷ장 적조발생방지와 피해 경감 대책 = 421 1. 적조 예보와 모니터링 = 422 가. 적조모니터링 = 422 나. 적조예보 = 424 2. 적조 발생 예방대책 = 426 가. 근본적인 연안오염방지 대책 = 426 3. 적조피해의 예방과 경감 대책 = 428 가. 적조 발생전 피해예방 수단 = 429 나. 적조발생 후 피해 경감 수단 = 431 4. 적조방제와 제어 기숱 = 431 가. 적조생물의 간접 제어 기술 = 431 나. 적조생물의 직접 제어 기술 = 432 다. 적조피해방지 기술개발 성공 사례 = 436 5. 금후의 적조대책기술개발 방향 = 438 가. 국내의 연구방향 = 438 나. 국외 및 국제기구의 연구 방향 = 439 맺는 말 = 447 찾아보기 = 45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