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일제하 전시 농업정책과 농촌 경제 서론 = 17 1. 식민지 근대와 농업, 그리고 전쟁 = 19 2. 기존 연구성과 검토 = 23 1) 식민농정과 조선 농촌사회 = 23 2) 전시체제 성립과 전시 농정 = 31 3. 연구 과제와 책의 구성 = 39 1) 연구 과제 = 39 2) 책의 구성 = 45 제1장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전개 = 49 1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으로의 전환(1937년 7월~1939년 12월) = 51 1. 1930년대 식민농정의 변화 = 51 2. 전시 식량문제의 대두 = 60 3. 증산 및 동원체제의 수립 = 67 1) 농촌진흥운동의 성격 변화 - '자력갱생'에서 '생업보국'으로 = 67 2) 국민정신총동원운동을 이용한 증산 및 전시 동원 = 72 2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성립(1940년 1월~1943년 7월) = 77 1. 식량 수급 불균형과 유통 소비통제 실시 = 77 2. '농산촌생산보국운동'의 전개 - '부락' 단위 동원에 의한 증산 = 86 3. 생산 효율성 제고를 위한 '조선농촌재편성계획' 구상 = 93 3절 전시 농업통제정책의 파행(1943년 8월~1945년 8월) = 101 1. 식량 부족 심화와 내핍 강요 = 101 2. '조선농업계획' 실시 - 이데올로기 선전 강화와 강제 동원 및 수탈 = 105 제2장 생산ㆍ유통ㆍ소비부문에 대한 통제와 동원 = 117 1절 생산 - 식량 증산정책의 성격 변화 = 119 1. 미곡 증산정책의 전개 = 119 1) 경종법 개선 중심의 조선증미계획 = 119 2) 토지개량사업 시행의 한계 = 124 2. '미곡중점주의' 정책의 수정과 잡곡 증산 = 135 1) 잡곡의 효용성 대두와 식량전작물증산계획 = 135 2) 잡곡 우선의 응급적 증산 = 144 2절 유통 - 식량 공출정책 실시와 저항 = 148 1. 공출제도 강화 = 148 1) '생산과잉지역' 우선의 공출(1940~1942년) = 148 2) 전체 농민에 대한 강제 공출(1943~1945년) = 161 3) 농업생산책임제와 사전할당제 = 166 2. 공출에 대한 농민 저항 = 172 3절 소비 - 식량 배급제도 실시 = 179 1. 소비절약운동과 배급정책 = 179 2. 도시와 농촌의 배급 실상 = 188 1) 도시의 식량 배급제도 = 188 2) 농촌의 자가보유미제와 환원배급 = 198 제3장 농업 생산조건의 변화와 생산력 저하 = 205 1절 노동력 동원과 노동력 부족 대책 = 207 1. 농업노동력 동원과 유출 실태 = 207 1) 노동력 동원정책의 시기별 특성 = 207 2) 농업노동력 유출 실태 = 211 2. 농업노동력 부족에 대한 조정 = 226 1) 공동노동과 부녀노동 활용 = 226 2) 노동력 부족 심화와 최소 노동력 확보 = 241 2절 비료 수급 악화와 생산력의 한계 = 249 1. 판매비료의 공급 감소 = 249 1) '개량농법' 보급과 비료 증투 = 249 2) 판매비료의 수급 악화 = 255 2. 자급비료 중심의 비료 확보 = 265 제4장 농촌 경제생활의 변화 = 273 1절 지주경제의 약화 = 275 1. 전시체제기 지주권 제약 정책 = 275 1) 소작입법 강화 = 275 2) 자작농지설정사업 확대 = 285 2. 전시 통제하 지주경제의 약화 = 290 2절 농가경제의 악화 = 305 1. 농가수지의 '강제된 잉여'와 강제저축 = 305 1) 농가수지 상황 = 305 2) 강제저축을 통한 '잉여' 흡수 = 318 2. 최대노동과 최저생활의 모순 = 330 3절 농촌 장시(場市) 통제와 암거래 확산 = 335 1. 농촌 장시 통제 = 335 1) 총독부의 장시정책과 장시 성격 변화 = 335 2) 전시체제기 장시 통제정책 = 343 2. 암거래(闇去來) 확산 = 348 4절 식생활의 악화 = 367 1. 농민 식생활 실태 = 367 2. 식량배급 감소와 대용식 장려 = 378 결론 = 389 참고문헌 = 407 찾아보기 = 4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