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아시아 외환위기와 신국제금융체계 프롤로그 = 1 제1장 아시아 외환위기 제Ⅰ절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발생과 전개 = 15 1. 금융위기와 외환위기 = 15 1) 금융위기와 외환위기의 의의 = 15 2) 외환위기와 은행위기의 연관성 = 17 3) 1980년대와 1990년대의 외환위기 = 18 4) 금융글로벌화의 진전과 외환위기 = 19 5) 외환위기 원인에 관한 이론들 = 21 2.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발생과 진행 = 26 1) 태국 = 26 2) 인도네시아 = 30 3) 말레이시아 = 35 4) 필리핀 = 38 5) 외환위기를 겪지 않은 아시아국가 = 40 3.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원인 = 46 1) 대외경제의 불균형현상 지속 = 47 2) 단기외채의 급증 = 49 3) 국제자본의 이동성 증가 = 51 4) 금융시스템의 취약성 = 51 5) 금융기관 부실채권의 누적 = 52 6) 부적절한 환율정책 = 53 4.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교훈 = 55 제Ⅱ절 한국 외환위기의 발생과 전개 = 57 1. 외환위기 이전의 한국경제 = 58 2. IMF 긴급자금지원 요청 직전의 상황 = 60 1) 대기업의 연쇄부도 발생: 1997. 1~5월 = 60 2) 금융시장의 일시적 안정회복: 5~6월 = 61 3) 기아그룹 부도유예협약 적용과 대외신인도 하락: 7.15일 = 62 4)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확산: 10월 말 = 64 5) 국내 금융ㆍ외환시장 악화 지속: 10월 말 이후 = 65 6) 외환보유고의 급격한 감소: 11월 말 이후 = 66 7) 외환시장 불안과 환율절하: 11월 말 이후 = 69 3. IMF 긴급자금지원 신청 및 합의내용 = 70 1) IMF 긴급자금지원 신청 = 70 2) IMF와의 주요 합의내용 = 72 4. IMF 외환위기 극복과정 = 76 1) 초기 외화유동성 부족 해결의 계기 = 76 2) IMF 프로그램하에서의 구체적 조치 = 84 3) 사회안전망 확충과 중소기업 및 벤처지원 = 110 5. IMF 차입금 조기상환과 IMF 졸업 = 112 제Ⅲ절 국제투기자본과 IMF체제 = 114 1. 국제투기자본과 아시아 외환위기 = 114 2. 국제투기자본과 국제금융체제의 혼란 = 120 3. IMF체제의 한계 = 123 제2장 신국제금융체제 제Ⅰ절 아시아 외환위기와 국제금융체제 개편논의 = 129 1. 배경 = 129 2. 개편 논의의 중심기관 = 136 제Ⅱ절 신국제금융체제의 주요 이슈 = 140 1. 헤지펀드에 대한 규제 = 140 1) 헤지펀드의 개요 = 140 2) 헤지펀드 현황 = 145 3) 헤지펀드의 최근 동향 = 147 4) 헤지펀드 규제 논의 = 148 5) 정책적 시사점 = 162 2. 환율제도 개편 = 163 1) 논의배경 = 163 2) 초기 국제통화제도의 변천 = 164 3) 브레튼우즈체제 이후 주요 선진국의 환율제도 변천 = 165 4) 최근 국제환율제도 개편 논의 = 172 5) 한국의 환율제도 = 187 3. 자본이동과 위험관리 = 195 1) 자본자유화에 대한 논의의 진전 = 195 2)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의 관계 = 199 3) 자본이동규제 논쟁 = 201 4) 자본이동규제 방안과 한계 = 204 5) 금융안정포럼 작업반의 권고 = 208 6) 한국의 자본이동규제 = 213 4. 대외채무 및 외환보유고 관리 = 215 1) 대외채무 관리 = 215 2) 외환보유고 관리 = 222 3) 한국의 대외채무 및 외환보유고 관리 = 226 5. 역외금융센터에 대한 규제 = 233 1) 역외금융센터 현황 = 233 2) 금융안정포럼 작업반 보고서 = 237 6.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조달 방지 = 240 7. 외환위기방지 및 극복을 위한 민간부문 책임분담 = 244 1) 논의배경 = 244 2) 위기해결을 위한 주요 제안내용 = 250 8. IMF 등 국제금융기구 개편 = 263 1) 배경 및 경과 = 263 2) IMF의 중기전략과제 추진 = 275 3) 평가 및 전망 = 280 9. 국제기준의 개발 및 한국의 이행현황 = 281 1) 국제기준 개발 = 281 2) 거시경제정책 및 통계자료 투명성 관련 기준 = 284 3) 체제 및 시장인프라 관련 기준 = 297 4) 금융규제 및 감독관련 원칙 = 327 제Ⅲ절 글로벌 불균형의 전개 = 354 1. 의의와 현황 = 354 2. 확대원인 및 지속 여부 = 357 3. 해소방안 = 362 제3장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발전과 전망 제Ⅰ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전개 = 369 1. 아시아통화기금(AMF) 설립논의 = 369 2. 역내 정책협의체제 = 370 1) 마닐라 프레임워크 그룹회의 = 370 2) ASEAN+3(한ㆍ중ㆍ일) 재무 장ㆍ차관회의 = 371 3) 한ㆍ중ㆍ일 국제금융국장회의 및 재무 장ㆍ차관회의 = 372 제Ⅱ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 및 평가 = 374 1.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= 374 1) 단기유동성 지원 = 375 2) 단기자본 이동의 공동모니터링 = 379 3) 외환위기 조기경보체제 = 380 4) 경제동향 점검 및 정책협의 강화 = 382 5) IMF 등의 시각 = 383 2. 아시아 채권시장 이니셔티브 = 385 1) 아시아 채권시장 육성의 필요성 = 385 2) 논의현황 = 386 제Ⅲ절 역내 적정환율제도 모색 = 390 1. 논의배경 = 390 2. 주요 논의내용 = 391 제Ⅳ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향후 과제 = 395 1. CMI 발전방안 = 395 1) 집단적 의사결정체제의 구축 = 395 2) CMI의 다자화 = 397 3) 역내 정책협의 강화 = 401 2. ABMI 향후 과제 = 403 3. 역내 환율제도의 미래 = 405 4. 동아시아 지역 통합 로드맵과 한ㆍ중ㆍ일 3국의 역할 = 407 제4장 한국경제의 글로벌화 대응 제Ⅰ절 금융의 글로벌화와 신국제금융체제 = 415 제Ⅱ절 개방경제하에서의 거시경제운용 = 425 제Ⅲ절 금융 글로벌화에 대한 대응 = 432 1. 금융 글로벌화와 한국경제 = 432 1) 대외환경 = 432 2) 대내여건 = 435 3) 향후 비전과 전략 = 438 4) 추진방안 = 442 2. 금융선진화를 위한 대응과제 = 449 1) 금융산업의 위상 = 449 2) 금융산업의 현황 = 450 3) 금융 글로벌시대의 한국금융 = 454 제Ⅳ절 한국경제의 비전와 과제 = 459 에필로그 = 471 국문색인 = 493 영문색인 = 49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