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한국 농업이 가야 할 제3의 길 제1부 세계화와 한국 농업은 동거할 수 없는가 제1장 세계화와 한국 농업: 오해와 진실 / 이정환 1. 한국 농업에 대한 믿음 = 5 2. 한국 농업문제의 진실 = 8 2.1. 국경보호가 무너지면 한국 농업은 붕괴하는가 = 8 2.2. 한국 농업이 직면한 시련 = 16 2.3. 농업구조조정의 꿈과 현실 = 18 제2장 제3의 길: 대타협과 블루오션 / 이정환 1. 세계화와 한국 농업의 동거를 위한 대타협 = 31 2. 농업의 구조조정은 활발히 진행 = 34 3. 농산물의 신수요ㆍ신시장 폭발 = 38 4. 농촌공간에 대한 수요폭발 = 40 5. 새로운 비전 = 41 제2부 미국과 유럽연합이 간 길에서 배운다 제3장 미국의 농가소득지지: 가격보장에서 소득보전까지 / 김한호 1. 농가소득지지제도의 태동과 발전 = 49 1.1. 가격지지제도의 발전 = 49 1.2. 목표가격제도의 등장 = 51 1.3. 시장지향성을 둘러싼 갈등과 농가소득지지 = 53 1.4. 직접지불제도의 규모 = 54 1.5. 농산물 구매사업을 통한 농가소득지원 = 57 2. 품목별 농가소득지지제도 = 58 2.1. 고정직접지불제도 = 58 2.2. 유통융자제도 = 60 2.3. 가격보전직접지불 = 60 2.4. 품목지불정책의 대상품목과 비대상품목 = 61 2.5. 쌀생산 농가에 대한 소득지지 사례 = 62 3. 농가소득지지제도의 결과 = 67 3.1. 농가경제 구조변화 = 67 3.2. 소득지지정책의 효과 = 70 4. 미국이 걸어온 길 = 73 제4장 유럽연합의 농가소득지지: 부과금제도에서 단일직불까지 / 이명헌 1. 1992년 이전의 EU 공동농업정책 = 81 1.1. 농가소득정책의 태동 = 81 1.2. 가변수입부가금에 의한 가격지지 = 81 2. 1992년 개혁: 직접지불제의 전면적 도입 = 83 3. 단일직불제도의 도입 = 85 3.1. 단일지불제 도입의 논리 = 85 3.2. 단일지불제의 개요 = 86 3.3. 대응이행의무 = 88 3.4. 농정개혁의 효과 = 89 4. EU 농정 중심의 이동: 농촌개발정책의 비중 증대 = 90 5. EU의 모색이 주는 교훈 = 92 제3부 현명한 무역정책과 협상으로 실리를 구한다 제5장 우리 나라의 관세제도: 문제와 대안 / 임정빈 1. 농산물 관세체계의 문제 = 101 2. 농산물의 관세구조 = 102 3. 우리 나라 농산물 관세체계의 특징과 문제점 = 106 3.1. 종가세 위주의 관세체계 = 106 3.2. 양극화된 관세분포 = 107 3.3. 품목분류와 관세부조화 = 110 4. 농산물 관세율체계의 개편방향 = 112 4.1. 관세유형의 다양화 시도 = 112 4.2. 관세율 세분화 추진 = 113 제6장 우리 나라의 할당관세제도: 문제와 대안 / 임정빈 1. TRQ제도의 탄생 = 121 2. TRQ 수입관리방식의 현황 = 123 2.1. UR 이후 수입관리제도의 변화 = 123 2.2. TRQ 물량 수입관리방식 = 126 2.3. TRQ 물량의 이행실적 = 131 3. TRQ 물량 수입관리제도의 문제점 = 133 3.1. 현황 불일치문제 = 133 3.2. DDA에서의 규율강화문제 = 136 3.3. 대내적 불합리와 비효율문제 = 140 4. TRQ 관리제도의 개선방향 = 141 4.1. 기본전제 = 141 4.2. 시장지향적인 수입관리방식으로 전환 = 142 4.3. 일부 품목의 TRQ 수입추천 및 관리 폐지 = 143 4.4. 생산자단체에 의한 수입관리주체의 변경 = 145 4.5. 세부 부가조건의 폐지 또는 합리적 근거 마련 = 146 4.6. 유사 및 대체품을 고려한 수입관리방식의 채택 = 146 4.7. 경제적 효율성 제고를 위한 조치 = 147 제7장 한ㆍ미 FTA 협상의 쟁점과 대안 / 서진교 1. 한ㆍ미 FTA의 3가지 쟁점 = 155 2. 한ㆍ미 FTA 협상에서 민감품목의 처리방향 = 157 2.1. 민감품목의 세분화 = 157 2.2. 관세철폐 대상품목의 시장개방방식 = 158 3. 미국과의 주고받기 수단 = 160 3.1. 사료곡물 TRQ 조정 = 160 3.2. 미국의 민감품목을 활용 = 162 3.3. 미국의 국내보조금을 활용 = 164 4. 저율관세 수입쿼터(TRQ) 관리방식 = 166 4.1. 협상추이와 한ㆍ미 양국의 입장 = 166 4.2. TRQ관련 국제논의와 시사점 = 167 4.3. 우리의 협상대안 = 170 5. 농산물 세이프가드(ASG) = 172 5.1. 협상추이 = 173 5.2. 주요 쟁점과 한ㆍ미 양국의 기본입장 = 174 5.3. 우리 나라의 협상대안 = 176 6. 맺는 말 = 181 참고 : UR 농업협정상의 특별세이프가드(SSG)와 미국-호주 간 FTA상 농산물 세이프가드 = 186 제4부 이제 가치혁신의 길을 찾아 나서야 한다 제8장 농산물 신수요ㆍ신시장 창출의 길 / 황의식 1. 신시장ㆍ신수요란 무엇인가 = 193 2. 신수요ㆍ신시장 창출방향 = 198 3. 신수요ㆍ신시장 창출을 위한 산지의 대응전략 = 203 3.1. 일본 전농 이바라끼현 VFS 사례 = 203 3.2. 산지의 대응전략 = 206 4. 맺음말 = 214 제9장 농촌공간의 부가가치 창출의 길 / 강신겸 1. 농촌의 위기와 대안모색 = 219 2. 농촌의 다원적 가치 = 220 2.1. 농촌가치에 대한 인식변화 = 220 2.2. 농촌의 다양한 공익적 기능 = 222 2.3. 농촌의 다원적 기능과 가치의 보전 = 223 3. 농촌공간의 신가치 영역과 수단 = 225 3.1. 새로운 농촌공간의 가치영역 = 225 3.2. 가치실현수단으로써 농촌관광 = 228 4 농촌관광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전략 = 231 4.1. 교류활성화를 통한 가치실현 = 231 4.2. 농촌관광과 문화가치의 제고 = 232 4.3. 타당성 있는 수익모델의 설정 = 233 4.4. 효율적인 정책추진체계 = 235 4.5. 주민들의 공감대 형성 및 경영능력 향상 = 235 4.6. 환경친화적인 자원의 이용과 관리 = 237 5. 농촌공간에 대한 새로운 인식 = 238 제10장 신농업경영체 출현의 길 / 김영생 1. 신경영체 출현의 필요성과 기대 = 245 2. 신경영체의 핵심 요소 = 248 2.1. 경영자의 능력이 경영체의 성패를 결정한다 = 248 2.2. 리더십은 조직에 생명력을 부여한다 = 252 2.3. 지배구조와 통제시스템이 조직의 뼈대를 만든다 = 254 3. 신경영체의 경영혁신 방향 = 256 3.1. 경쟁력 우위를 만드는 경영전략 = 256 3.2. 사업에 혈액을 공급하는 자금확보와 투자유치 = 262 3.3. 사람이 희망이다 = 263 3.4. 지속적인 혁신시스템 구축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= 266 부록 : 캐나다와 일본의 농가소득안정제도 A. 농가소득안정제도: 캐나다의 경험과 교훈 = 271 B. 농가단위소득지원제도: 일본의 새로운 시도 = 27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