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(이상무의)세계농정기행 책을 내면서... 제1부 중국과 그 주변국 1. WTO가입과 중국농정의 방향 = 3 2. 중국 사상 최초의 농업센서스 = 6 3. 항저우(杭州), 닝부어(寧波)와 저우산(舟山) 군도 = 9 4. 옌볜(延邊) 조선족 자치주의 농업과 농촌 = 12 5. 동북 3성(遼寧, 吉林, 黑龍江省)의 농업자원과 개발 잠재력 = 15 6. 윈난(雲南), 하이난(海南), 광시(廣西)의 원예산업 = 18 7. 허베이(河北), 허난(河南), 산둥(山東)의 고추, 마늘 등 채소농업 개발 = 21 8. 씨안(西安) 유적과 중국 고대 농본사상 = 24 9. 2천 3백년 전 치수시설 뚜쟝옌(都江堰) = 27 10. 창쟝(長江) 삼협과 싼샤(三峽) 댐 = 31 11. 중샨링(中山陵)과 쑨 웬의 건국대강 = 36 12. 중국 농촌경제의 실상과 정책과제 = 40 13. 타이완의 농지 개혁과 농촌 사구(社區)발전 운동 = 43 14. 타이완의 원예농업 발전과 농회(農會) = 46 15. 홍공, 마카오의 농산물 수급 = 49 16. 싱가포르-도시국가의 농업문제 = 52 제2부 미국 1. 주립농대(Land Grant College)와 협동지도체계(Cooperative Extension System) = 57 2. 미국 농업의 전형, 대규모 곡물농업과 축산 = 60 3. 농본주의(Agricultural Fundamentalism)와 미국의 농정체제 = 64 4. 농업경제학과 산ㆍ학ㆍ관(産ㆍ學ㆍ官) 연대 = 68 5. 농업무역과 대외협상 = 71 6. 농업재해 보험과 자원보전 = 75 7. IPC와 IFPRI, 월드워치와 IIE = 79 8. 하와이 한인 상공회의소의 경제활동 = 82 제3부 일본 1. 일본 농정의 기조(基調)와 농족(農族) = 87 2. 전후농정의 골간(骨幹), 식관(食管)제도 = 91 3. 농산물 가격정책과 유통시스템 = 94 4. 농공병진 정책과 농촌경제의 기반정착 = 97 5. 농협 조직과 농업 금융 = 100 6. 농산물 수입제도와 식품안전 = 103 7. 농업 경영과 정보 시스템 = 106 8. 특색 있는 지방농정의 자율적 발전 = 109 제4부 유럽 1. 유럽 농정 조사단과 EU 본부 브뤼셀 = 115 2. 세계 식량ㆍ농업기구 FAO 로마 본부 = 121 3. 제네바, GATT에서 WTO까지 = 124 4. 유럽 공동농업정책과 프랑스의 농업보호 = 127 5. 산업대국 독일의 농촌 및 환경 보호 = 131 6. 덴마크의 중농주의와 조합 시스템 = 134 7. 네덜란드의 농공병진 정책과 수출농업 = 138 8. 영국의 뒤늦은 농업ㆍ농촌 부흥정책 = 142 9. 벨기에의 농협 마케팅과 가격안정 장치 = 145 10. 스웨덴의 마켓보드(Market Board) 농정 = 149 11. 이태리의 농수산물 도매시장 = 152 12. 그리스의 올리브 농업과 바나나 = 155 13. 스위스의 산지농업과 농촌보전 = 158 14. 이집트 나일강변 파라오 유적과 농업개발 = 162 제5부 라틴 아메리카 1. IICA와 중남미 농업발전 = 169 2. 코스타리카의 생태관광 농업 = 173 3. 멕시코의 농업개혁과 NAFTA = 177 4. 과테말라의 커피 산업 = 182 5. 온두라스의 영세농과 농촌 공예 = 185 6. 니키라과 혁명정권과 버려진 농업자원 = 188 7. 파나마 운하와 보세 가공무역 = 191 8. 아르헨티나의 대평원과 엄청난 잠재력 = 194 9. 브라질 콩 산업의 국제경쟁력 = 200 10. 칠레의 개발독재와 경제발전 = 206 11. 페루의 감자산업과 농과대학 = 211 12. 에콰도르의 알파카 산업 = 215 13. 콜롬비아의 농업개발과 지하경제 = 219 14. 베네수엘라의 석유와 농촌경제 = 223 제6부 남아시아ㆍ중앙아시아 1. UNDP와 개도국 농업ㆍ농촌 개발 = 229 2. 인도 펀잡 지방의 농업혁명 = 232 3. 인도 전문 인력의 국제기구 진출 = 235 4. 방글라데시 기아해방을 위한 농업개발 = 238 5. 방글라데시 농업통계의 허실 = 241 6. 파키스탄의 간다라 유적과 탁실라 댐 = 244 7. 이슬라마바드 FAO 아ㆍ태 지역 총회 = 247 8. 스리랑카의 타밀 내전과 농촌경제 = 250 9. 몽골 유목농업과 무공해 청정농업의 잠재력 = 254 10.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의 농업개발 = 257 제7부 동남아시아ㆍ대양주 1. 방콕 FAO 아ㆍ태 지역본부의 역할 = 263 2. 태국의 농업ㆍ농촌과 국민경제 발전 = 266 3. 필리핀의 거꾸로 가는 경제와 농업ㆍ농촌의 낙후성 = 269 4. 필리핀 대중민주주의 비극과 환상의 희극 = 273 5. 캄보디아 앙코르 와트와 관광농업의 가능성 = 276 6. 베트남 하롱 베이의 경관과 경제개발의 정책과제 = 279 7. 인도네시아의 거대한 잠재자원과 개발정책 = 282 8. 말레이사아의 농정과 민간분야의 역할 = 286 9. 호주의 수출축산과 AMLC = 289 10. 호주의 마케팅 보드와 농산물 가격ㆍ유통정책 = 292 11. 뉴질랜드의 농업우선 정책과 경제발전 = 295 12. 서사모아, 남태평양 조그만 섬나라의 농업문제 = 299 연재를 마치면서..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