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제1장 신체ㆍ질병ㆍ의료 1. 건강과 질병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= 22 1) 건강문제와 사회학적 관점 = 22 2) 건강 결정요인으로서의 사회적 관계 = 27 3) 질병 규정과 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성격 = 31 4) 건강과 질병에 의한 사회관계의 변화 = 37 2. 근대사회, 질병관, 의료권력 = 39 1) 권력 = 39 2) 근대사회의 형성과 질병관 = 43 3) 후기근대사회와 질병관 = 47 4) 한국적 근대 = 48 3. 보건사회학의 발전 = 50 1) 의학의 변화 = 50 2) 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 = 51 3) 보건사회학의 연구영역 = 55 제2장 건강과 질병의 불평등 분포 1. 사회체제와 건강수준 = 61 1) 근대사회에서 사망률의 저하와 건강수준의 향상 = 61 2) 사회체제와 건강 = 65 2. 젠더와 건강 = 73 1) 남녀의 사망 및 이환구조 = 73 2) 남녀간 생물학적 차이 = 77 3) 성 역할의 차이 = 78 3.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건강 = 80 1) 교육수준별 사망, 이환, 건강행동 = 80 2) 물질적 조건에 따른 건강불평등 = 83 3) 지위 스트레스론 = 85 4) 문화적 차이 = 86 5) 조작된 사실과 표류론(drift) = 87 4. 연령과 건강 = 88 제3장 건강과 질병의 사회적 의미 1. 의학적 모형 = 98 1) 정신과 신체의 이원성 = 98 2) 생물학적 일탈 = 99 3) 특정 병인설 = 100 4) 질병의 보편성 = 100 5) 과학적 중립성 = 102 6) 전문가 중심의 의료체계 = 103 7) 과도한 개입주의 = 103 8) 잔여적 건강개념 = 104 9) 현대의학의 변화 = 105 2. 사회학적 모형 = 106 1) 사회적 상태로서의 건강과 질병 = 106 2) 사회적 경험으로서의 질병과 건강 = 110 3) 건강의 독자성 = 112 4) 속성으로서의 건강과 관계로서의 건강 = 117 3. 사회적 일탈로서의 질병 = 119 1) 일탈과 사회통제의 개념 = 119 2) 병 역할 = 126 3) 병 역할 개념의 평가 = 129 4. 사회적 낙인으로서의 질병 = 133 1) 사회적 실재로서의 질병 = 133 2) 정당한 일탈과 정당하지 못한 일탈 = 136 3) 낙인의 사회적 생성 = 138 4) 공식적 낙인과 환자의 반응 = 140 5) 후기구조주의와 의학지식의 구성 = 143 5. 사회적 불평등으로서의 질병 = 146 1) 병든 사회와 질병 = 146 2) 질병의 보편적 존재 = 148 3) 상실모형과 박탈모형 = 149 4) 집합적 박탈의 극복 = 153 제4장 질병행동과 질병경험 1. 질병행동의 개념 = 158 1) 증상의 빙산 = 158 2) 미캐닉의 질병행동 이론 = 160 3) 증상인식과 정당성 획득 = 164 2. 만성질환의 경험 = 167 1) 만성질환의 특성 = 167 2) 생애붕괴로서의 만성질환 = 169 3) 질병 이야기(narrative) 분석의 사례 = 174 3. 의료이용 = 178 1) 자가 치료 = 179 2) 의료이용 = 181 제5장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1. 정신, 신체, 사회 = 188 1) 사회학적 전통 = 188 2) 생리학적 전통 = 190 2. 생활사건과 사회적 스트레스 = 191 3 스트레스의 완화: 대응역량과 사회적 지지 = 196 1) 개인의 대응역량 = 196 2) 사회적 지지의 개념 = 198 3) 사회적 지지의 작동 기전 = 201 4)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지 = 204 제6장 건강증진 1. 건강증진 개념의 발전 = 212 1) 신공중보건학의 등장 = 212 2) Alma Ata 선언과 Otawa 선언 = 217 3) 한국에서의 1차보건과 건강증진 = 224 2. 건강증진 이론 = 225 1) 건강행동의 개념 = 225 2) 건강신념모형과 이성적 행위이론 = 226 3) 심리학적 이론의 한계 = 229 3. 사회이론과 건강증진 = 230 1) 이론적 관점의 분류 = 230 2) 생활습관, 집단정체성, 문화 소비 = 234 3) 권력, 위험, 감시 = 236 제7장 의료전문화와 의료권력 1. 의학지식과 의료의 전문화 = 241 1) 근대의학의 발전 = 241 2) 의학교육의 변화 = 243 2. 의료의 전문화 = 246 1) 의료전문화의 의미 = 246 2) 의료전문화의 과정 = 251 3. 의료전문직의 사회적 가치와 전문직업성 = 255 1) 직업가치 = 255 2) 전문직업성 = 260 4. 탈전문화와 노동자화 = 264 1) 탈전문화 = 264 2) 노동자화(proletarianization) = 266 5. 전문직에 대한 사회적 통제 = 268 1) 내부통제 = 268 2) 외부통제 = 270 3) 정책적 통제 = 272 제8장 의료실천 1. 의료의 근대화와 의사 = 278 1) 의사의 직업적 정체성 = 278 2) 직업가치로서의 개업주의 = 280 3) 한국의료의 근대화 = 281 2. 개업주의 = 286 3. 엘리트주의 = 291 4. 배제주의 = 296 5. 조합주의 = 302 제9장 대체의학 1. 대체의학의 용어와 사례 = 310 1) 개념정의 = 310 2) 분류 = 312 3) 사례 = 314 2. 대체의학의 특성 = 317 1) 철학적 특성 = 317 2) 사회적 특성 = 321 3. 대체의학의 이용 = 324 1) 외국의 경우 = 324 2) 한국의 경우 = 326 3) 의사들의 견해 = 328 4. 대체의료의 제도화 = 331 1) 대체의료 제도화의 경향 = 331 2) 대체의료 제도화의 정치적 조건 = 334 3) 과학성 검증 = 337 4) 경제적 효과 = 340 제10장 병원조직 1. 병원의 탄생 = 346 1) 자선장소로서의 병원 = 346 2) 통제장소로서의 병원 = 349 3) 한국의 경우 = 351 2. 조직이론과 병원 = 353 1) 기계적 관료제로서의 병원 = 354 2) 유기체로서의 병원조직 = 357 3) 정치와 지배체계로서의 병원조직 = 359 3. 병원의 조직구조 = 363 1) 병원조직의 구성 = 363 2) 기술집약체로서의 병원조직 = 366 3) 진료부서와 행정부서 = 369 4) 의사와 간호사의 의사소통 = 372 5) 병원조직의 계층구조 = 373 4. 병원조직과 환경 = 375 1) 일반적 환경요인 = 376 2) 업무환경 = 379 3) 병원조직의 환경통제 전략 = 381 제11장 의료체계의 구성 1. 의료체계의 개념 = 388 1) 건강요구를 실현하는 의료체계 = 388 2) 보건의료체계의 목표와 가치 = 390 2. 의료체계의 구성요소 = 393 1) 보건 자원 = 393 2) 자원의 조직화 = 399 3) 경제적 지원 = 401 4) 관리 = 402 5) 서비스의 전달 = 403 3. 의료체계의 유형과 지배구조 = 404 1) 국가모형 = 408 2) 전문가모형 = 410 3) 조합주의모형 = 413 4. 한국의 의료체계 = 415 1) 역사적 형성 = 415 2) 한국 의료체계의 문제점 = 417 3) 이념의 부재와 지배권력의 취약성 = 420 제12장 의료와 국가 1. 국가와 의료전문직의 관계 = 432 2. 체제 인증자 = 438 3. 의료제공자 및 구매자로서의 국가 = 443 4. 규제 및 갈등조정자 = 449 5. 의료보험제도에서의 정부규제 = 453 제13장 의료와 시장 1. 의료시장화의 논리 = 462 2. 제도 논리 = 468 3. 관리형 의료의 등장 = 472 1) 단독형 의료 = 472 2)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들 = 475 3) 공급자 중심에서 구매자 중심으로 = 478 4) 관리형 의료조직 = 480 5) 집중화ㆍ통합화되는 의료조직 = 483 4. 한국의료와 시장화 = 488 제14장 의료 신기술 1. 의료 신기술과 사회 = 498 2. 의료 신기술과 디스토피아: 생명공학기술의 경우 = 501 1) 역사적 기원 = 501 2) 생명공학과 의료윤리학 = 502 3) 숙지된 동의 = 506 4) 유전적 질환의 사회적 재구성 = 510 5) 과학연구와 질병치료에 대한 사회적 통제 = 514 3. 의료 신기술과 유토피아: 의료정보화의 경우 = 517 1) e-health의 등장 = 517 2) 기업과 e-health의 발전 = 518 3) 사회적 의사소통구조의 변화와 e-health = 521 4) 환자의 변화 = 525 5) 의사의 변화 = 528 6) 병원, 약국, 제약회사의 변화 = 529 7) 의료조직간 관계의 변화 = 530 8) e-health의 내재적 위험 = 532 제15장 의료서비스 평가 1. 평가의 개념과 질 관리 = 540 1) 평가의 개념 = 540 2) 사회인식과 평가 = 541 3) 의료의 질 = 544 2. 구조평가 = 548 1) 개념 = 548 2) 평가방법 = 549 3) 문제점 = 550 3. 과정평가 = 551 1) 개념 = 551 2) 평가방법 = 551 3) 문제점 = 553 4. 결과평가 = 556 1) 개념 = 556 2) 평가방법 = 560 3) 문제점 = 562 5. 한국에서의 평가 사례 = 563 1) 제왕절개분만 적정성 평가 = 563 2) 수혈 적정성 평가 = 564 3) 의료기관 평가 = 565 6. 의료서비스 평가제도의 정착 = 568 제16장 의료개혁운동 1. 서구의 의료개혁 = 575 2. 한국의 의료개혁 = 578 3. 보건의료 운동단체들의 형성(1987~1993년) = 581 4. 정책운동의 전개(1994~2000년) = 589 5. 시장개방과 의료의 공공성 = 597 6. 조직과 정체성의 문제 = 602 7. 소결 = 605 참고문헌 = 609 찾아보기 = 6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