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양성평등과 적극적 조치 책머리에 제1장 서론 = 19 1. 연구문제와 필요성 = 19 2. 기존논의 검토 = 28 1) 적극적 조치의 남녀평등 논쟁 = 28 2) 적극적 조치의 실행을 둘러 싼 행위자들 = 34 3. 연구 대상 및 방법 = 44 1) 연구대상의 선정 = 45 2) 연구방법과 자료 수집 = 48 3) 연구대상 기업의 특성 = 52 제2장 적극적 조치의 여성친화적 제도로의 확대 과정 = 61 1. 적극적 조치의 개념 형성 = 62 1) 차별 금지에서 적극적 조치로 = 62 2) 여성 친화적인 적극적 조치의 도입 = 72 3) 여성운동의 활성화와 평등권 요구 = 84 2. '불평등 효과'와 성차별 개념의 확대 = 87 1) 성별직무분리에 대한 여성의 법적 대응 = 88 2) 불평등 효과 개념을 통한 간접차별의 가시화 = 96 3) 성차별과 기업의 방어 = 122 3. 여성 단체의 연대활동과 전문성 강화 = 129 1) 인권단체와의 연대활동 = 129 2) 여성운동의 전문가 집단과의 결합 = 138 4. 소결 = 144 제3장 기업내 적극적 조치의 실행과 성평등의 정치 = 149 1. 법적 강제에 의한 도입과 수용 = 149 1) 노동부와 고용기회평등위원회(EEOC)의 공동 개입 = 150 2) 법원 명령에 의한 적극적 조치 모델의 수용 = 157 2. 능력주의 논리에 기초한 기업의 대응 = 166 1) 적극적 조치 실행에 대한 정부의 모니터링 = 166 2) 국가권력의 통제에 대한 기업의 반발 = 170 3. 역차별 소송과 남성의 저항 = 178 1) 적극적 조치의 실행과 남성의 개별적 저항 = 178 2) 집단적 저항과 역차별 소송 = 187 3) 노동조합의 계급정치와 성평등 = 192 4. 소결 = 206 제4장 기업내 적극적 조치 실행의 결과와 고용평등의 확대 = 209 1. 의도된 결과 = 209 1) 성별 직무분리의 완화 = 210 2) 여성고용의 안정성과 노동조건 향상 = 218 2. 의도되지 않은 결과 = 226 1) 기업의 효율성과 인적자원 확대 = 227 2) 노동조합 내부의 적극적 조치 = 234 3. 여성의 의식향상과 적극적 조치의 유지 = 244 1) 법적 소송을 통한 남녀 고용평등의 실천 = 244 2) 새로운 여성 연대의 형성 = 249 제5장 결론 = 259 참고문헌 = 273 부록 고용기회평등위원회(EEOC)와 노동부 연방계약준수국(OFCCP)의 조직과 활동 = 291 1. 고용기회평등위원회(EEOC)의 조직과 활동 = 291 1) EEOC의 조직 구성 = 291 2) EEOC의 업무와 활동 = 296 2. 노동부 연방계약준수국(OFCCP)의 조직과 활동 = 307 찾아보기 = 31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