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(다시 찾는)우리역사 개정판을 내면서 = 3 책을 펴내면서 - 잃어버린 역사를 찾아서 = 5 총설 - 한국사란 무엇인가 1. 국토와 자연환경 = 21 2. 한국문화의 독자성 = 25 3. 한국인의 생명력 = 40 4. 왕조교체의 의미 = 44 5. 사관과 시대구분 = 49 제1편 고대 연맹국가 : 고조선과 열국 제1장 한국인의 기원 1. 구석기문화 = 59 2. 신석기문화 = 62 1) 신석기인의 등장 = 62 2) 신석기인의 생활 = 63 3. 청동기문화 = 66 1) 비파형청동검과 민무늬토기 = 66 2) 청동기인의 생활과 성읍국가 = 68 4. 동방문화권과 한민족의 성립 = 70 제2장 고조선과 열국의 등장 1. 고조선 = 75 1) 단군신화와 단군조선 = 75 2) 기자전설과 고조선의 발전 = 78 3) 위만조선(기원전 194∼108) = 80 4) 고조선의 사회와 문화 = 82 2. 열국의 병립 = 85 1) 부여 = 85 2) 옥저와 동예 = 87 3) (구)고구려와(신)고구려 건국설화 = 88 4) 진국과 삼한 = 90 5) 삼한의 풍속과 예술 = 92 제2편 고대 귀족국가 : 삼국과 남북국 제1장 삼국의 성립과 발전 1. 고구려의 발전 = 97 2. 백제의 건국과 발전 = 102 3. 신라의 건국과 발전 = 110 4. 가야의 흥망 = 112 5. 고구려의 수·당과의 전쟁 = 115 6. 백제의 멸망 = 117 7. 고구려의 멸망 = 118 8. 신라의 반도통일과 그 의의 = 119 제2장 삼국의 사회와 문화 1. 통치체제 = 121 2. 신분·계급 구조 = 124 3. 삼국의 고대문화 = 127 1) 한문의 수용 = 127 2) 역사편찬 = 127 3) 유교와 도교의 수용 = 128 4) 불교의 수용과 발전 = 131 5) 문학과 음악 = 134 6) 건축과 미술 = 135 4. 삼국인의 도일과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= 140 제3장 발해와 그 문화 1. 발해의 건국과 남북국시대(698∼926) = 147 2. 발해의 정치와 경제 = 151 3. 발해의 문화 = 153 제4장 후기신라의 사회와 문화 1. 중앙집권적 관료제 강화 = 157 2. 귀족의 생활 = 160 3. 지방민의 생활 = 162 4. 상공업과 국제무역 = 163 5. 후기신라의 문화 = 165 1) 불교의 융성과 선종의 대두 = 165 2) 풍수지리사상의 보급 = 169 3) 유교의 진흥 = 171 4) 과학기술 = 173 5) 건축, 조각, 공예 = 175 6) 문학, 그림, 글씨 = 179 제3편 중세 귀족 : 관료국가 - 고려 제1장 후삼국과 고려의 건국 1. 귀족세력의 반란 = 183 2. 6두품과 호족의 등장 = 185 3. 후삼국의 성립 = 186 4.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 = 188 제2장 고려전기의 정치와 사회 1. 중앙집권적 양반체제의 지향 = 193 1) 태조의 호족포용정책과 북진정책 = 193 2) 광종과 성종의 개혁정치 = 195 2. 통치체제의 정비 = 198 1) 중앙통치조직과 지방행정체제 = 198 2) 군역제도와 군사조직 = 201 3) 교육과 과거제도 = 202 3. 경제구조와 사회구조 = 204 1) 토지제도와 국역제도 = 204 2) 수공업과 상업 = 206 4. 신분·계급 구조 = 207 제3장 거란과의 전쟁과 송과의 관계 1. 거란과의 전쟁(993∼1019) = 211 1) 거란과의 제1차 전쟁(성종 12, 993) = 211 2) 거란과의 제2차, 제3차 전쟁(현종 원년, 1010 : 현종 9년, 1018) = 212 2. 송과의 문화교류와 국위선양 = 214 제4장 고려전기의 문화 1. 유교정치와 유교문화 = 217 2. 불교문화 = 220 1) 불교행사와 사원경제 = 220 2) 교리정리와 대장경 = 222 3. 풍수리지, 도교, 민간신앙 = 224 1) 풍수지리사상 = 224 2) 도교와 민간신앙 = 225 4. 문학과 미술 = 226 1) 문학 = 226 2) 자기와 불교미술 = 227 3) 그림과 음악 = 230 5. 역사편찬 = 232 제5장 12세기 이후 고려사회의 동요 1. 윤관의 9성 설치(1107∼1109)와 여진족의 성장 = 233 2.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= 235 1) 이자겸의 난(1126∼1127) = 235 2) 묘청의 난(1135) = 236 3. 무신의 난과 무신정권(1170∼1270) = 237 1) 무신의 난(1170) = 237 2) 최씨정권 시대(1196∼1258) = 239 4. 무신집권기 지방민의 동요 = 242 5. 무신집권시대의 문화 = 244 1) 설화문학과 역사의식 = 244 2) 조계종의 성립 = 245 제6장 몽고와의 전쟁과 사대부의 성장 1. 몽고와의 전쟁(1231∼1273) = 249 2. 원의 간섭과 고려정치의 굴절 = 251 1) 부원세력의 등장 = 251 2) 국왕과 유신들의 개혁운동 = 253 3. 공민왕의 개혁 = 255 4. 사대부=성리학자의 성장과 그 문화 = 257 1) 사대부=성리학자의 성장 = 257 2) 성리학의 수용과 분화 = 258 3) 불교계의 변화 = 260 4) 역사편찬 = 261 5) 문학과 예술 = 263 6) 과학기술과 금속활자 발명 = 265 제4편 근세 관료국가 - 조선 제1장 조선왕조의 성립 1. 이성계 일파의 역성혁명 = 271 1) 우왕대 권신의 발호와 위화도회군(1388) = 271 2) 전제개혁과 조선왕조의 개창 = 273 2. 새 국호, 새 수도 = 274 1) 새 국호 = 274 2) 새 수도 = 275 3. 국가체제의 완성 = 277 1) 태종과 세종 = 277 2) 세조와 성종 = 280 4. 영토확장과 대외관계 = 282 1) 영토확장과 명과의 관계 = 282 2) 일본 및 동남아 국가와의 관계 = 284 제2장 통치체제의 재편성 1. 관료기구의 재정비 = 287 1) 중앙통치기구 = 287 2) 지방행정 = 292 2. 부역체제 = 294 3. 신분개편과 계층구조 = 298 1) 노비인구의 축소와 지위향상 = 298 2) 양인의 여러 계층 = 300 4. 교육과 선거제도 = 302 1) 교육제도 = 302 2) 선거제도 = 304 5. 병역제도와 군대조직 = 307 제3장 조선초기의 경제발전 1. 농업의 발전 = 313 2. 수공업의 발전 = 315 3. 상업의 발전 = 316 제4장 조선초기의 문화 1. 성리학의 발달 = 319 2. 역사, 지리, 예서의 편찬 = 320 1) 통치기록 = 320 2) 역사편찬 = 322 3) 지도, 지리지, 예서의 편찬 = 324 3. 훈민정음의 창제 = 326 4. 과학기술의 발전 = 328 1) 농학 = 328 2) 천문학 = 329 3) 의학, 출판·인쇄 기술 = 330 4) 병서 및 무기 = 331 5. 문학과 예술 = 332 1) 문학 = 332 2) 건축과 공예 = 334 3) 그림 = 335 4) 음악과 무용 = 337 5) 종교 = 338 6) 풍속 = 339 제5장 사림의 성장과 그 문화 1. 부의 집중과 공납·군역의 과중 = 343 1) 토지집중과 상업발달 = 343 2) 농민부담의 과중 = 344 3) 임꺽정 일당의 폭동과 정여립 반란 = 346 2. 사림의 등장과 사화, 당쟁 = 347 1) 사림의 등장 = 347 2) 훈척과 사람의 갈등 - 사화 = 348 3) 선조대 붕당의 발생 = 351 4) 서원과 향약 = 353 3. 16세기 사림문화 = 356 1) 성리학의 철학적 심화와 분화 = 356 2) 새로운 사서의 간행 = 359 3) 어문학의 변화 = 360 4) 그림과 공예 = 363 제6장 왜란과 호란 1. 임진왜란(1592∼1598) = 365 1) 도요토미 히데요시 군대의 침략 = 365 2) 수군과 의병의 항쟁 = 367 3) 정유재란과 조선의 승리 = 370 4) 대일국교 재개와 통신사 파견 = 372 2. 광해군의 전후복구사업과 중립외교 = 376 3. 인조반정과 호란 = 379 제7장 17∼18세기의 왕조중흥 1. 붕당연합과 북벌운동 = 382 2. 붕당의 잦은 교체[환국]와 왕권강화 = 384 3. 영조의 탕평정책과 왕조중흥 = 388 4. 정조의 탕평책과 민국을 위한 개혁 = 391 5. 부세제도의 개선 = 397 1) 전세의 개편 = 397 2) 공납제의 개선 - 대동법 = 398 3) 군역제도의 개선 - 균역법 = 398 6. 산업발전과 신분제의 변화 = 400 1) 상업적 농업 = 400 2)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= 402 3) 상업발달과 화폐의 유통 = 404 4) 신분제의 동요 = 409 제8장 조선후기 문화의 중흥 1. 17∼18세기 전반 실학의 대두와 발전 = 413 1) 17세기초 서울 실학의 대두 = 413 2) 17세기 후반∼18세기초 실학의 발전 = 415 2. 18세기 후반 북학의 대두 = 418 3. 철학·종교의 새 경향 = 420 1) 수련도교와 양명학 = 420 2) 호락논쟁(湖洛論爭) = 422 4. 국학 및 과학의 발달 = 423 1) 역사 편찬 = 423 2) 지리지와 지도의 편찬 = 425 3) 국어학·금석학·유서의 편찬 = 428 4) 과학과 기술의 발전 = 430 5.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= 433 1) 문학의 변화 = 433 2) 예술의 새 경향 = 435 제9장 19세기 전반 서울과 지방의 갈등 1. 세도정치와 삼정의 문란 = 439 2. 지방민의 항거 = 441 1) 지방민의 불만 = 441 2) 평안도 및 삼남지방의 민중봉기 = 442 3. 19세기 전반기의 문화 = 445 1) 19세기 전반기의 개혁사상 = 445 2) 국학의 발달 - 역사·지리지·지도 = 448 3) 천주교의 전래와 금압 = 450 4) 동학의 성립과 전파 = 452 5) 문학과 예술 = 453 제5편 근대 산업국가 - 꿈과 좌절 제1장 문호개방과 개혁운동(1863∼1894) 1. 대원군의 개혁과 병인양요·신미양요 = 459 1) 대원군의 내정개혁 = 459 2) 병인양요(1866)와 신미양요(1871) = 461 2. 고종의 개화정책과 세력균형정책 = 463 1) 고종의 개화정책과 통상정책(1873∼1886) = 463 2) 개화정책에 대한 위정척사파의 반발 = 466 3) 동도개화정책의 추진 = 468 4) 임오군변(1882)과 청의 내정간섭 = 469 5) 김옥균일파의 쿠데타 실패(갑신정변, 1884) = 471 제2장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(1894) 1. 동도개화정책의 확산(1884∼1894) = 475 2. 외교의 다변화와 자립경제 수호정책 = 477 3. 동학교인의 종교투쟁(1892∼1893) = 479 4. 갑오동학농민전쟁(1894) = 480 1) 제1차 동학농민전쟁(1894. 2∼1894. 6. 11) = 480 2) 제2차 동학농민전쟁(1894.10) = 482 5. 변법개화파의 갑오경장(1894. 7∼1896. 2) = 494 1)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과 제1차 개혁(1894. 7∼1894. 12) = 484 2) 제2차 개혁(1894. 12. 17∼1895. 7) = 485 제3장 근대국가 - 대한제국의 개혁과 좌절(1897∼1910) 1. 일본의 명성황후 시해와 을미의병(1895∼1896) = 487 2. 대한제국 성립과 광무개혁(1897. 10∼1907) = 489 3. 독립협회의 민권운동(1896. 7∼1898. 12) = 493 4. 일본의 주권 탈취 = 496 1) 일본의 침투와 러·일전쟁(1904∼1905) = 496 2) 을사조약(1905), 정미조약(1907), 경술국치(1910) = 497 5. 일제의 경제침략 = 501 제4장 항일의병전쟁과 구국계몽운동 1. 항일의병전쟁 = 504 1) 을사조약(1905) 전후의 의병항쟁 = 504 2) 군대해산 후의 의병항쟁(1907∼1910) = 505 2. 구국계몽운동 = 509 1) 구국계몽운동의 두 흐름 = 509 2) 정치·사회단체의 활동 = 510 3) 언론활동과 국채보상운동 = 512 4) 민족교육운동·종교운동 = 514 5) 국학운동과 신문학운동 = 517 제5장 1910년대의 민족해방운동 1. 일제의 무단통치와 경제적 약탈 = 519 1) 조선총독부의 탄압통치 = 519 2) 토지·자원 및 산업의 침탈 = 522 2. 1910년대 국외·국내의 민족운동과 3·1운동 = 524 1) 1910년대 국외의 민족운동 = 524 2) 1910년대 국내의 민족운동 = 526 3) 3·1운동의 전개 = 527 제6장 1920년대 실력양성운동과 민족협동운동 1. 일제의 기만적 문화통치와 경제수탈 = 531 1) 문화통치의 기만성 = 531 2) 경제수탈의 강화 = 533 2.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활동 = 535 3. 국외 독립군의 무장투쟁 = 537 4. 실력양성운동과 사회주의 운동 = 539 1) 실력양성운동 = 539 2) 사회주의 운동과 노동자·농민운동 = 542 5. 국내·국외 민족협동운동 = 545 1) 국내의 신간회운동(1927∼1931) = 545 2) 국외의 민족협동 운동과 의열단 = 546 제7장 1930∼40년대초의 민족통일 전선운동 1. 일제의 중국 침략과 한국의 병참기지화 = 549 2. 일제의 민족말살정책 = 552 3. 민족문화 수호운동 = 556 4. 민족연합전선과 항일무장투쟁의 강화 = 558 5. 공산당 재건운동과 노동자·농민운동 = 563 제6편 현대 민주국가 - 분단과 번영, 인간상실 제1장 해방과 민족분단(1945∼1950) 1. 8·15해방과 통일정부 수립운동 = 567 1) 8·15전후의 건국준비 = 567 2) 좌우합작운동과 과도정부 수립(1947. 2) = 571 3) 남북협상(1948. 4) = 573 2.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(1948) = 574 1) 대한민국의 수립 = 574 2)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 = 575 3. 일제잔재 청산의 진통 = 578 4. 사회·교육·문화운동의 갈등 = 580 제2장 한국전쟁과 전후복구(1950∼1959) 1. 한국전쟁(1950∼1953) = 582 2. 전후 50년대 남한의 사회와 문화 = 584 3. 50년대 북한의 권력강화와 사회주의정책 = 587 제3장 4·19혁명과 남북한의 변화(1960∼70년대) 1. 4·19혁명(1960) = 589 2. 민주당정부(1960. 8∼1961. 5) = 591 3. 5·16 군사투데타와 군정(1961. 5∼1963. 12) = 592 4. 박정희정부 - 제3공화국(1963. 12∼1972. 10) = 593 5. 유신체제(1972. 10∼1979. 10) = 596 6. 1960∼70년대의 경제와 문화 = 597 7. 1960∼70년대 북한의 변화 = 601 제4장 전두환, 노태우 정부와 북한의 변화(1980년대 이후) 1. 신군부의 쿠데타와 광주민주화운동(1979∼1980) = 604 2. 전두환정부(1981. 3∼1988. 2) = 605 3. 민주화운동의 진전과 노태우정부(1988. 3∼1993. 2) = 609 4. 1980∼90년대 북한의 변화 = 613 제5장 김영삼의 '문민정부'(1993. 2.∼1998. 2) = 616 제6장 김대중의 '국민의 정부'(1998. 2. 25∼2003. 2. 24) = 623 제7장 노무현의 '참여정부'(2003. 2. 25∼) = 638 결론 : 새 천년을 열면서 = 641 부록 왕실세계도 = 647 참고도서 = 667 찾아보기 = 688 사진·지도 목록 = 7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