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정보
서명 : 농업발전경제학 : 경제발전과 농업문제 제1부 전통적 사회의 근대화 이론 제1장 경제발전의 이론범주 1.1 경제학 패러다임 = 4 1.1.1. 신고전경제학 이론 = 5 1.1.2. 발전경제학 이론(Development Economics) = 7 1.1.3. 고전적 마르크스 이론 = 9 1.1.4. 종속이론과 네오마르크시즘 = 11 1.2 경제학 패러다임의 비교분석 = 16 1.2.1. 기본가정의 차이 =16 1.2.2. 접근방법과 이론체계의 일관성 = 18 1.2.3. 이론의 한계 = 21 제2장 경제발전 단계이론 2.1 피셔-클라크(Fisher-Clark)의 구조변화 이론 : 개별적 경제발전 단계이론 = 28 2.2 로스토(Rostow)의 선도산업 이론 : 종합적 경제발전 단계이론 = 30 2.2.1. 전통사회단계 = 30 2.2.2. 도약을 위한 준비단계 = 30 2.2.3. 도약단계 = 31 2.2.4. 성숙단계 = 31 2.2.5. 고도 대중소비단계 = 31 제3장 2중구조 이론과 공업화 문제 3.1 정태적 2중구조 이론과 동태적 2중구조 이론 = 36 3.1.1. 정태적 2중구조론 = 36 3.1.2. 동태적 2중구조론 = 41 3.1.3. 2중구조 이론의 평가 = 58 3.2 경제개발정책과 잠재실업 문제 = 60 3.2.1. 균형성장(balanced growth)과 불균형성장(unbalanced growth) = 60 3.2.2. 공업우선정책과 농업우선정책 = 70 3.2.3. 잠재실업 문제(disguised unemployment) = 74 제4장 제도경제학적 접근 4.1 제도경제학의 고전적 접근 = 81 4.1.1. 뮈르달(G. Myrdal)의 누적적 인과관계(cumulative causation) = 81 4.1.2. 미국의 제도학파 = 85 4.2 제도변화의 신고전적 접근 = 88 4.2.1. 제도선택과정과 제도변화의 수요이론 = 88 4.2.2. 새로운 제도의 공급이론 = 90 4.2.3. 제도변화와 사회과학 지식 = 91 4.3 농업발전의 제도경제적 접근 = 92 4.3.1. 농업기술과 제도변화 = 92 4.3.2. 농업 제도변화의 현실성 = 96 4.3.3. 농민행동의 정치모형 = 99 제5장 경제발전과 농업문제 5.1 경제발전과 농업발전 = 103 5.2 경제발전을 위한 농업의 역할 = 106 5.3 경제발전과 농업문제의 여러 가지 형태 = 110 5.3.1. 농업구조 문제 = 110 5.3.2. 산업구조와 농업문제 = 114 5.3.3. 국제무역과 농업문제 = 118 5.3.4. 농업문제에 대한 이론의 평가와 함축 = 121 제2부 농업발전이론 제6장 농업발전과 농업문제 6.1 농업문제의 범주 = 132 6.1.1. 농업문제·농촌문제·농민문제 = 132 6.1.2. 식량문제·소득문제·농업구조 문제 = 134 6.2 농업문제의 이론배경 = 137 6.2.1. 시장경제(market economy)에서 농업문제의 특성 = 137 6.2.2. 비시장경제(non-market economy)에서 농업문제 = 139 6.3 경제발전과 농업문제의 접근방법 = 143 6.3.1. 농업문제에 대한 인식전환 = 143 6.3.2. 농업문제에 대한 정부의 역할 = 146 제7장 멜러(Mellor)의 농업발전 단계이론 7.1 전통적 농업단계(Ⅰ단계) = 151 7.1.1. 전통적 농업생산 과정 = 152 7.1.2. 전통적 농업의 노동력 배분 = 152 7.1.3. 전통적 농업의 자본 = 154 7.1.4. 전통적 농업의 일반적 특성 = 155 7.2 자본저위(資本低位)농업 기술단계(Ⅱ단계) = 155 7.2.1. 희소한 생산요소 = 156 7.2.2. 희소한 생산요소의 일반적 특성 = 156 7.2.3. 자본저위농업 단계의 일반적 특성 = 157 7.3 자본집약적 농업기술단계(Ⅲ단계) = 157 제8장 하야미-루탄(Hayami-Ruttan) 농업발전이론 8.1 자원개발모형(resource exploitation model) = 160 8.1.1. 1차산품 교역이론(staple theory) = 161 8.1.2. 잉여물 배출이론(vent for surplus theory) = 162 8.2 자원보존모형(conservation model) = 164 8.2.1. 영국 농업혁명의 교훈 = 164 8.2.2. 독일의 토양학 발전과 영국의 고전경제학 이론 = 165 8.2.3. 전통적 자연주의의 자원희소성 이론(scarcity doctrine) 검토 = 165 8.3 입지모형(location model) = 166 8.3.1. 이론적 배경 = 166 8.3.2. 실증분석 결과 = 167 8.3.3. 모형의 현실적 의미 = 168 8.4 기술전파모형(diffusion model) = 169 8.4.1. 모형의 역사적 개관 = 169 8.4.2. 그릴리치스(Griliches) 기술전파모형 = 170 8.4.3. 모형의 현실적 의미 = 171 8.5 고수익성 투입물모형(the high pay-off input model) = 172 8.5.1. 기술의 경제적 성격 = 173 8.5.2. 모형의 현실적 의미 = 174 8.6 유발적 기술혁신모형(induced innovation model) = 175 8.6.1. 이론모형 = 176 8.6.2. 역사적 실증분석 = 179 8.6.3. 모형의 현실적 의미 = 180 제3부 농업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제9장 농업기술 개발이론 9.1 농업발전과 농업기술 = 185 9.1.1. 농업의 변화와 농업연구의 중요성 = 185 9.1.2. 국가 농업연구조직을 위한 환경의 변화 = 187 9.2 농업기술 개발의 이론적 배경 = 190 9.2.1. 농업기술과 연구자원 배분 = 190 9.2.2. 농업기술의 수요와 공급 = 192 9.2.3. 농업기술 진보의 유발성 = 194 9.2.4. 부존자원과 농업기술 변화 = 197 9.2.5. 농업기술 변화의 실증분석결과 = 200 9.3 농업기술정책의 방향 = 203 9.3.1. 유발적 농업기술 변화의 정책적 함의 = 203 9.3.2. 유발적 농업기술 개발의 방향 = 206 9.4 농업연구자원 배분정책의 과제 = 208 9.4.1. 농업연구관리의 적정성 확보 = 208 9.4.2. 농업연구 평가체계의 구축 = 210 9.4.3.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협력의 필요성 = 211 9.4.4. 현장농업연구의 강화 = 212 제4부 한국의 경제발전과 농업문제 제10장 경제발전과 한국농업문제 10.1 한국농업구조문제 = 217 10.1.1. 균형이론적 접근 = 217 10.1.2. 갈등이론적 접근 = 221 10.2 한국의 산업구조와 농업문제 = 226 10.2.1. 균형이론적 접근 = 227 10.2.2. 갈등이론적 접근 = 230 10.3 세계경제와 한국농업문제 = 234 10.3.1. 균형이론적 접근 = 234 10.3.2. 갈등이론적 접근 = 238 10.4 한국농업의 현실과 이론의 괴리 = 239 제11장 한국의 경제발전과 농업의 역할 11.1 한국의 경제성장과 농업발전 = 247 11.2 접근방법과 시기구분 = 249 11.2.1. 접근방법 = 249 11.2.2. 시기별 농업생산, 투입 및 총생산성 추이 = 251 11.2.3. 제1기(1900-1945) : 일제 식민지시대 농업기 = 253 11.2.4. 제2기(1945-1961) : 해방 후 자원 위주의 농업기 = 256 11.2.5. 제3기(1961-1983) : 과학기술 위주의 농업기 = 260 11.2.6. 제4기(1983-) : 개방화 시대의 농업기 = 266 11.2.7. 한국의 경제발전과 농업의 역할에 대한 함축 = 272 제12장 한국농업의 기술·성장 및 발전 12.1 한국농업의 기술변화와 농업성장 = 276 12.1.1. 농업기술과 농업성장 = 276 12.1.2. 유발적 농업기술변화 = 280 12.1.3. 한국농업기술의 유발적 논쟁 = 284 12.1.4. 쌀 생산기술의 유발성과 기술정책 = 286 12.2 농업발전과 제도변화 = 288 12.2.1. 농산물 수입개방과 제도변화의 수요 = 288 12.2.2. 농산물 수입개방과 제도변화의 공급 = 289 12.2.3. 농업제도 변화와 관련된 한국사회 구조문제 = 291 12.2.4. 한국농업제도 변화의 정책적 함의 = 293 12.3 경제발전과 한국농업발전 방향 = 296 12.3.1. 과학기술 위주의 농업 = 296 12.3.2. 시장경제 위주의 농업 = 297 12.3.3. 지속개발(sustainable development) 위주의 농업 = 298 12.3.4. 패턴(pattern) 모형에 의한 한국농업발전 접근 = 299 사항색인 = 305 인명색인 = 313 |